
일단 웹사이트를 제작하기전에 추가적으로 말씀드려야 될 사항이 있는데요. 그사항은 바로 유지 비용입니다. "아니! 내가 직접만드는데 무슨 비용이 들어간다는거야!" 라고 반박하시는 분들이 있으실텐데요. 안타깝게도 들어갑니다. 사람들이 인터넷상에 존재하는 내 웹사이트를 방문해서 보게하기위해서는 도메인 (Domain) 과 호스팅 (Hosting) 이 꼭 필요합니다.
도메인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의 경우 1년에 $10 - $12 정도를 예상하시면 될 것 같고요. 호스팅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의 경우 1년에 $34 - $60 정도를 예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어떻습니까? 그래도 생각보다 별로 안 들어가는 편이지요?
그렇게 부담되는 유지비용 아니더라도 무턱대고 내야 된다고 해서 그냥 내면 마음 한구석이 왠지 모르게 찜찜하실것 같아서 차근차근 왜 필요한지 설명드리겠습니다.
그럼 첫번째 도메인 (Domain) 은 왜 필요한 것일까?
도메인 이름 (Domain Name) 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하는데요.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웹사이트의 이름이나 명칭 이라고 말씀드릴수 있겠는데요. 예를들어 컴퓨터에서 브라우저 (구글 크롬,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등) 여시고 내가 원하는 웹사이트를 찾으실때 브리우저 맨 위에 주소 창 (Address Bar) 에 www.JaysDIY.com 이라고 타입하시잖아요. 바로 www.JaysDIY.com 가 도메인 입니다.
도메인은 크게Second level domain (SLD) 과Top level domain (TLD) 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도메인은 점 (dot) 으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www.JaysDIY.com 를 예를들어 보자면 www 는 Machine Name 이라고 하고 JaysDIY 는Second Level Domain 그리고 마지막으로 com 을 Top Level Domain 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제일 중요한 부분은 Second Level Domain 과 Top Level Domain 인데요.
Second Level Domain 은 회사명이나 아니면 나만의 웹사이트를 제일 잘 표현할수있는 명칭을 원하시는대로 작명하셔서 쓰시면 되고요. Top Level Domain 은 일명 부모격이되는 도메인 (Parent Domain) 으로 일컬어지기도 하는데요. 예를들자면 상업조직(.com), 비영리 기관(.org), 교육기관(.edu), 정부기관 (.gov) 등이 있고 또한 나라를 칭하는 .kr(한국), .jp(일본), .cn(중국), .tw(대만), .uk(영국) 있습니다. 이중 제일 널리 쓰이는 Top Level Domain 은 .com 입니다.
그럼 두번째 호스팅 (Hosting) 은 왜 필요한걸까요?
웹 호스팅 (Web Hosting) 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하는데요. 웹 호스팅은 내 웹사이트를 인터넷상에서 다른 사람들이 볼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그 서비스를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세가지 과정으로 나누어서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첫번째 과정은 내 웹사이트를 서버 (Server) 에 저장하고 있다가 여기서 서버란 간단하게 말해서 스페셜 컴퓨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번째 과정은 누군가 당신의 웹사이트를 보고싶어서 브리우저 맨 위에 주소 창(Address Bar) 에 당신의 도메인을 타입한후 Enter 키를 누르게되면
세번때 과정은 당신의 웹사이트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Server) 는 당신의 웹사이트를 당신의 웹사이트를 보고싶어하는 그 누군가의 브라우저로 전달해 볼 수 있게 합니다.
어떠세요! 도메인과 호스팅에 대해서 이해가 좀 되시나요? 만약 아직도 이해가 될듯 말듯 하시면 제가 마지막으로 아주 아주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브라우저 (구글 크롬,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등) 맨 위에 주소 창(Address Bar)에 내 웹사이트의 도메인 (웹사이트 이름) 을 타입하면 내 웹사이트를 저장하고 있는 서버와 연결된후 저장되어 있는 내 웹사이트가 브라우저를 통해 볼 수 있게 됩니다. 만약 아직도 이해하시기가 힘드시면 Contact 페이지를 통해서 저한테 문의하세요. 이해하실때까지 설명 드리겠습니다.
그럼 다음 블러그에서는 WordPress 를 이용해서 본격적으로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드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